728x90
24시간 365일 4교대 근무자(주 42시간 근무)에게도 연장, 야간, 휴일 근로 수당을 지급해야 하나요? .
답변1. 감시단속적근로자로 적용제외 승인을 받았거나, 탄력적 근로시간제등 유연근로시간제도 도입사업장이 아니라고 하면, 법적기준근로시간(1일 8시간, 1주 40시간)을 초과한 연장근로에 대해, 22시부터 익일6시사이에 이루어진 야간근로에 대해, 약정휴일 또는 주휴일 등에 이루어진 휴일근로 시 통상임금의 50%를 가산한 임금을 지급해야 합니다.
- 단, 교대제 근로자의 경우 반드시 일요일을 주휴일로 지정할 필요는 없으므로, 1주간 중 주어진 비번일 중 1일을 유급휴일로 부여하면 유급주휴일은 부여하였으므로 일요일 근로에 대한 휴일근로수당은 지급할 필요가 없습니다.
728x90
'고용노동부민원마당사례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대제 근로자의 경우 반드시 일요일을 주휴일로 지정할 필요는 없음. (0) | 2021.05.25 |
---|---|
상시근로자수 산정시 하루 2시간씩 월,수,금만 근로하는 근로자 포함여부 (0) | 2021.05.18 |
상시 근로자 5인 미만 사업장도 주휴수당을 지급해야 하나요? (0) | 2021.05.18 |
해고예고수당도 퇴직금정산시 급여에 포함되나요?. (0) | 2021.05.14 |
아파트관리소에 근무하는 감시단속적 근로자인데 갑자기 물이 터져서 비번근무일에 퇴근도 못하고 일을 시켰을 경우에 초과근무수당을 시급의 1.5배를 지급해야하는지 ,1배를 지급해야하는지 (0) | 2021.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