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경조휴가는 사용자의 휴가시기 변경전 행사가 불가능하고, 기일경과후 휴가사용 목적이 소멸시 휴가청구권 또한 소멸한다
회시번호 : 근기 68207-1452, 회시일자 : 1994-09-14
경조휴가는 근로기준법에서 정한 연·월차 등의 휴가취지와는 달리 노사가 단체협약이나 취업규칙 등으로 경조일의 기념이나 경조사 참여를 보장하기 위해 해당 근로자에게 특정일 또는 특정기간에 유급으로 부여하는 휴가로서 사용자의 휴가시기 변경권 행사가 불가능하고 또한 그 기일이 경과하면 휴가 사용목적이 소멸되어 휴가청구권 또한 상실되는 것임.
따라서 단체협약을 경신하여 그 효력 발생시점을 소급하여 적용한다 하더라도, 신협약에 의해 추가된 경조휴가는 그 성격상 특단의 약정이 없는 한 추가된 분에 대한 수당청구권은 발생하지 않는 것임.
728x90
'근로기준법 > [근로기준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채용내정 통지를 함으로써 사용자와 근로자 사이에는 근로계약관계가 성립하고, 그 후 사용자가 근로자에 대한 채용내정을 취소한 것은 실질적으로 해고에 해당한다 (0) | 2021.04.13 |
---|---|
근로계약에서 근로 내용이나 근무장소를 특별히 한정한 경우 근로자에 대하여 전보나 전직처분을 하려면 근로자의 동의가 있어야 한다 (0) | 2021.04.12 |
근로기준법 제4장 근로시간과 휴식(제50조~제63조) (0) | 2021.02.13 |
근로기준법 제3장 임금(제43조~49조) (0) | 2021.02.13 |
근로기준법 제2장 근로계약(15조~25조) (0) | 2021.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