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교섭대표노동조합의 지위유지기간 만료일 이전에 단체협약을 갱신하지 못한 경우, 지위유지기간 만료일 다음날부터 교섭창구단일화 절차를 개시하여야 한다
회시번호 : 노사관계법제과-3208, 회시일자 : 2012-11-26
【질 의】
1. 2011.7월 경 교섭창구단일화 절차를 거친 사업장은 2011년도 보충임금협약(만료일 2011.12.31.)을 체결하여 교섭대표노동조합의 지위유지기간은 2012.12.31.까지임.
2. 2012년 임금협약과 만료된 단체협약(2011.12.31.)의 갱신을 위해 사용자와 교섭하고 있으나 교섭대표지위유지기간 동안 임금·단체협약을 체결하지 못하는 경우 새로운 교섭창구단일화 시점은
【회 시】
새로운 교섭대표노동조합 결정을 위한 교섭창구단일화는 기존 교섭대표노동조합의 지위유지기간 만료일 이후에 만료되는 단체협약의 3개월 전부터 개시하여야 할 것임.
- 다만, 기존 교섭대표노동조합의 지위유지기간 만료일 이전에 단체협약의 유효기간이 만료되었으나 그 지위유지기간 동안 단체협약을 체결하지 못한 경우라면 교섭대표노동조합의 지위유지기간 만료일 다음날부터 교섭창구단일화 절차를 개시하여야 할 것임.
728x90
'노동조합및노동관계조정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료의 변질을 방지하기 위해 노사간에 협정근로자를 둔 경우 쟁의행위 제한 가능 여부 (0) | 2021.11.03 |
---|---|
교섭대표노동조합 지위 유지기간 산정 관련 행정해석 변경 (0) | 2021.09.16 |
단수노조의 교섭대표노조 지위 변경지침 (0) | 2021.07.22 |
노동조합법이 노동조합의 설립에 관하여 신고주의를 택하고 있는 취지 (0) | 2021.07.08 |
사용자가 쟁의행위 기간 중 당해 사업과 관계없는 자를 쟁의행위로 중단된 업무의 수행을 위하여 채용 또는 대체하는 경우, 쟁의행위에 참가한 근로자들이 위법한 대체근로를 저지하기 위하.. (0) | 2021.07.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