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퇴직시점에서 총 휴가일수가 근로자의 입사일을 기준으로 산정한 휴가일수에 미달하는 경우 미달하는 일수에 대하여 연차휴가근로수당으로 정산해야 한다
회시번호 : 근로개선정책과-5352, 회시일자 : 2011-12-19
【질 의】
○ 당사는 퇴직자에 대하여 최종 퇴사시점에 회계연도 기준으로 회사가 부여한 연차 총일수와 입사일자 기준으로 계산한 법적 연차 총일수의 격차를 산정하여 정산하는 것이 타당한지 여부
【회 시】
○ 귀 질의가 구체적이지 않아 명확한 회신이 어려우나, 근로기준법 제60조의 연차유급휴가를 부여하기 위한 출근율 산정대상기간의 기산일은 근로자 개인별로 정함이 원칙이며, 사업장에서 노무관리의 편의를 위하여 단체협약이나 취업규칙으로 회계연도(1.1~12.31) 등을 기준으로 일률적으로 정할 수도 있을 것임.
- 회계연도를 기준으로 휴가를 계산할 경우 연도 중 입사자에게 불리하지 않게 휴가를 부여하려면, 입사한 지 1년이 되지 못한 근로자에 대하여도 다음연도에 입사년도의 근속기간에 비례하여 유급휴가를 부여하고 이후 연도부터는 회계연도를 기준으로 연차유급휴가를 부여하면 됨.
- 다만, 퇴직시점에서 총 휴가일수가 근로자의 입사일을 기준으로 산정한 휴가일수에 미달하는 경우에는 그 미달하는 일수에 대하여 연차휴가근로수당으로 정산해야 할 것으로 사료됨.(2003.5.23, 근로기준과-620 참조)
728x90
'근로기준법 > 연차휴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차유급휴가 이월사용 가능 여부 (0) | 2021.03.09 |
---|---|
회계연도 기준 연차유급휴가 부여방법 및 취업규칙 불이익 해당 여부 (0) | 2021.03.09 |
회계기준 연차 산정방법 및 정년퇴직자에 대한 사용촉진 (0) | 2021.03.09 |
관행적으로 연차유급휴가를 미리 선부여 하는 형태로 운영해오고 있는 경우 휴가사용촉진 대상으로 볼 수는 없다 (0) | 2021.03.09 |
연차휴가 사용촉진절차에서 적법한 노무수령 거부의사 방법 (0) | 2021.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