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당직근무가 내용과 질에 있어서 통상근무와 마찬가지라면 야간·연장·휴일근로수당 등을 지급하여야 한다
사건번호 : 대법 2015다213568, 선고일자 : 2019-10-17
1. 일반적인 숙·일직 근무가 주로 정기적 순찰, 전화와 문서의 수수, 기타 비상사태 발생 등에 대비한 시설 내 대기 등 업무를 내용으로 하고 있는 것과 달리, 숙·일직시 행한 업무의 내용이 본래의 업무가 연장된 경우이거나 그 내용과 질이 통상의 근로와 마찬가지로 평가되는 경우라면, 그러한 초과근무에 대하여는 야간·연장·휴일근로수당 등을 지급하여야 한다(대법원 1995.1.20. 선고 93다46254 판결 등 참조).
2. 당직근무 시간에 처리하는 업무가 주간에 이루어지는 다른 업무와 내용과 질이 다르다고 볼 수 없는 점, 당직근무 시간에 처리하는 업무의 강도가 주간의 것에 비해 적다고 보기는 어려운 점, 식사나 수면시간을 제외한 나머지 당직근로시간에 수면이나 휴식이 보장되었다고 보기는 어려운 점, 당직근무가 미리 정한 4교대제 근무의 일부를 이루고 당직근무시 당직보고도 2차례씩 이루어지는 등 당직근무가 사용자의 지휘·감독으로부터 완전히 벗어난 것이라고 보기도 어려운 점 등을 앞서 본 법리에 비추어 보면, 당직근무 중 식사나 수면시간을 제외한 나머지 시간의 근로는 그 내용과 질에 있어서 통상근무와 마찬가지라고 볼 여지가 크다.
728x90
'근로기준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로기준법상 “근로자대표 선정단위” 및 해고예고 적용제외 대상인 “계속근로기간 3개월 미만인 근로자”에 대한 해석기준에 대해 아래와 같이 관련 내용을 알려드리니, 지방고용노동관.. (0) | 2021.08.02 |
---|---|
입사시 제출한 이력서에 허위 경력 등을 기재한 행위를 징계해고사유로 삼은 취업규칙의 효력 유무(적극) (0) | 2021.07.27 |
정년은 실제의 생년월일을 기준으로 산정하여야 한다[만 60세에 도달하는 출생일] (0) | 2021.07.21 |
상시근로자 5인 미만과 이상의 기간이 혼재되는 경우의 연차유급휴가 산정을 위한 기산일 (0) | 2021.07.13 |
육아휴직기간 만료 후 육아휴직자를 다른 근무처(근무시간과 임금은 종전과 동일)로 복귀시킬 수 있는지 여부 (0) | 2021.07.10 |